개발 관련 Tips/C , C++

VSC에서 디버깅할 때 입출력이 없는 코드는 상관없지만, 입출력이 있는 코드를 디버깅하면 VSC 디버그 콘솔에서 입력과 출력 모두 안되는 상황이 일어난다. 그 이유는 VSC의 디버그 콘솔이 C++ 프로그램의 입출력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인데 해결방법은 굉장히 간단하다. VSC의 디버그 콘솔이 아니라 외부 콘솔을 사용하면 된다. code-runner 버튼 옆에 있는 디버그 구성 추가 버튼을 누르고 활성파일빌드를 선택하면 launch.json이라는 파일이 생성되는데 이 파일에 있는 configurations에서 externalConsole의 값을 true로 변경해주면 된다. 이는 디버깅 콘솔로 VSC 내부 콘솔이 아니라 외부 콘솔(터미널)을 사용한다는 뜻이다. 이렇게 설정하면 디버깅 시 터미널 창이 뜨면서 입..
대부분의 C, C++ 강의는 윈도우를 기준으로 되어 있어서 강의를 듣다가 안되는게 있으면 해결책을 찾기 쉽지 않다. 그래서 이번에 C++을 공부하면서 알아낸 맥에서 VSC로 C++을 쓸 수 있는 방법을 기록해두려 한다. 맥에서 C++을 쓰는 법 맥에서 C++을 쓸 수 있는 방법은 생각보다 단순하다. 그냥 gcc만 설치하면 된다. 하나의 소스파일을 빌드하려면 아래처럼 터미널에 작성하면 된다. gcc main.c -o main_123 이렇게 하면 빌드가 진행되어 main_123이라는 실행파일(바이너리 파일)이 생성된다. -o 옵션을 빼면 소스파일명으로 main이라는 실행파일이 생성된다. 이 실행파일은 터미널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. ./main 빌드 = 컴파일 + 링킹 빌드란 컴파일 후 링킹을 거쳐서 실행파일..